-
번외.「부자가 되고 싶은 분들에게」 from.파공▶파공's 자산형성 스토리/▷자산 형성 과정 이야기 2021. 4. 22. 17:30
안녕하세요!
파이어(F.I.R.E.)족을 꿈꾸는 공룡
'파공' 입니다.
최근에 제가 어떤 영상 하나를 매우 감명 깊게 봤습니다. 그러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제가 감명 깊게 봤던 그 영상을 소개해드리고, 「부자가 되고 싶은 분들에게」라는 제목으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우선, 제가 봤던 영상이 어떤 것이었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유튜브의 ‘삼프로TV_경제의 신과 함께’라는 채널, 아마 많은 분들께서 이미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여기에 자주 등장하시는 게스트(?) 분들 중에 ‘권순우’라는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자분이 계십니다. 이 분이 운영하시는 유튜브 채널 ‘권순우의 발칙한 경제’에 삼프로TV의 김프로님이 나오셨더라구요. 김프로님이 본인의 이야기를 해주시는 영상이 총 3편 있는데, 그중에서 제가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2번째 영상입니다.
출처: 유튜브, '권순우의 발칙한경제' 채널 김프로님에게 ‘부자란 무엇인가’, ‘부자는 어떻게 되는가’ 등 ‘부자’의 개념과 ‘부자’가 되는 방법 등에 대해 여쭤보는 영상입니다. 이런 주제를 다루는 영상은 이미 수없이 많긴 하죠. 하지만, 제가 개인적으로 새로운 깨달음(?)을 얻고 저에게 많은 생각을 하도록 만들어줬던 영상이 있었습니다. 영상을 보고 난 후 제가 했던 생각들 그리고 독자분들에게 드리고 싶은 이야기들을 시작해보겠습니다.
1. 여러분도 부자가 되고 싶으신가요?
여러분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주변 지인들에게 ‘부자가 되고 싶으세요?’라고 물어보면 ‘네’라고 대답하지 않는 경우가 얼마나 있을까요? 저는 여쭤보니 거의 대부분 ‘네’라고 대답하시더라구요. 어느 순간부터 부자는 당연히, 누구나 추구해야 하는 것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사실 돈이 너무 부족하면 삶이 불행해지고 힘들어지는 건 맞습니다. 100% 공감합니다. 그래서 일정 수준 이상의 돈은 필요하죠. 하지만, 꼭 부자가 돼야 하는 걸까요? 우선, 그것을 판단하기 위해선 ‘왜 부자가 되고 싶은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다시 한번 생각해 봤습니다.
‘내가 부자가 되고 싶은 이유는 어떤 거였지?’
사실 이미 여러 번 생각했던 질문이지만, 이 기회에 한 번 더 다시 생각해 봤습니다. 제가 부자가 되고 싶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두 가지만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첫 번째, 불안한 노후 대비. 저는 이제 30대 초반입니다. 추후에 은퇴하고 나면 은퇴 후의 삶을 몇 년이나 살아가야 할지 감도 오지 않습니다. 그 수십 년 동안 돈이 너무 부족해서 힘들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입니다.두 번째, 자식에게 더 큰 기회를 제공해 주고 싶은 마음. 추후에 저의 자식이 예체능이든, 창업이든, 자영업이든, 그 외에 어떤 것이든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했을 때, 돈이 부족해서 안된다는 말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다양한 기회를 주고 싶습니다.
이 외에도 몇 가지 이유가 더 있지만, 위 두 가지만으로도 충분할 것 같네요. 그렇다면, 이 두 가지를 위해서 부자가 되어야만 할까요? 부자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이러한 이유를 위해서라면, 몇 백억 이상의 대단한 자산가가 될 필요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와이프와 함께 매년, 매년의 자산 목표를 계획해 두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계획에 따르면 몇 백억의 자산가는 될 수가 없죠. 현실적이면서도 약간의 도전정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수준에서 목표를 잡아 두었으니까요.^^;; 이 목표만 달성해나가면 경제적으로는 큰 문제 없이 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니, 그렇게 계획을 잡아 놓고도 어느 순간부터 저도 모르게 최대한 많이, 최대한 빨리,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마음으로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 살아왔던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과연 꼭 부자가 되어야 하는 것인지, 특별한 의미도 없이 내가 목표한 것 이상의 부자가 되기 위해서 나의 시간과 노력을 헛되이 쓰고 있지는 않은지 고민해 봤습니다.
영상 속의 김프로님도 모두가 부자가 될 필요는 없다. 부자가 되는 길은 처절하고 힘들기 때문에 내가 정말 꼭 부자가 되어야겠다고 선택한 사람들만, 그 선택에 상응하는 간절함을 가지고 노력하면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어느 순간부터 ‘부자가 되는 것’이 모두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가치가 되어버린 것 같지만, 어디까지나 ‘부자가 되는 것’은 선택사항이라는 점을 독자분들도 저와 같이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Photo by Caleb Jones on Unsplash 2. 진심으로 간절하게 부자가 되기를 원하고 계시나요?
김프로님은 부자가 되고 싶다면 ‘간절함’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십니다. 누구나 나는 간절하다고 얘기하죠. 하지만 진심으로 간절하다면, 간절한 만큼 처절하게 아끼고 절약하고, 투자 공부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부자가 되는 법. 사실 모르는 분이 계시나요? 세부적인 방법론에는 다양한 루트가 있겠지만, 큰 틀에서 부자가 되는 방법은 많이 벌고 적게 쓰는 것입니다. 절약해서 저축 또는 투자하는 것이 저 같은 일반적인 월급쟁이들이 할 수 있는 부자가 되는 길이라는 점은 명확합니다. (물론, 사업을 하게 되면 얘기가 달라지겠죠^^;;) 하지만, 방법을 안다고 모두가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죠. 누구는 1년간 연봉의 80프로를 소비하고, 누구는 연봉의 10프로 만을 소비합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바로 간절함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 간절함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①얼마나 큰 자산을 가지고 싶은가 / ②얼마나 빨리 자산을 만들고 싶은가
얼마나 큰 자산을 가진 부자가 되고 싶은가에 따라 간절함이 달라지겠죠. 나는 100억 자산가가 되고 싶은 사람은 30억 자산가가 되고싶은 사람보다는 더 간절함을 가지고 처절하게 노력해야겠죠. 마찬가지로, ‘나는 40세에 100억을 달성하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60세에 100억을 달성하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더 간절하게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처럼 ‘나는 내 기준에서 부자가 되겠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목표를 명확히 세워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몇 세까지 얼마나 큰 규모의 자산가가 되고 싶은지 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목표들을 잡아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내가 감수해야 할 ‘간절함’의 정도를 파악할 수가 있겠죠. 그 ‘간절함’의 크기가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한다면 왜 부자가 되고 싶은지를 다시 생각해보며 목표를 조정하거나, ‘감당해보자!’하는 패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Photo by Carlos Muza on Unsplash 3. 그래서 파공은??
이 영상을 보고 나서 저는 와이프와 다시 한번 얘기를 해보았습니다. 지금 우리가 세워둔 큰 목표와 작은 목표들이 적절한가, 우리는 이 정도 목표에 걸맞은 ‘간절함’을 가지고 노력할 준비가 되었는가. 약간의 입장 차이는 있었지만, 긴 대화 끝에 저희는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기존에 세워둔 목표들을 그대로 달성해나가기로 했고, 그 이상의 부자가 되는 ‘간절함’ 대신에, 현재를 좀 더 즐기고 느낄 수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조금 더 베풀 수 있는, 자기 계발을 위해 좀 더 투자할 수 있는 삶을 살기로 했습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인생을 제대로 사는 유일한 길은 아닐 겁니다. 그 외에도 다양하게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들이 있고, 본인이 재밌어서 노력과 시간을 쏟아내고 싶은 다른 길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부자가 되는 길은 ‘선택’이라는 말씀이 개인적으로는 다소 충격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부자가 되기로 선택했다면, 어느 정도 자산을 어느 정도의 속도로 형성해나갈 것인지 구체적으로 목표를 잡고 그에 걸맞은 ‘간절함’으로 처절하게 노력할 준비를 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께 전해드리고 싶은 말씀은 딱 이것들입니다.
1. 여러분도 부자가 되고 싶으신가요?
2. 진심으로 간절하게 부자가 되기를 원하고 계신가요?
Photo by Christopher Sardegna on Unsplash 반드시 혼자서도 생각을 많이 해보시고, 가족분들과 경제적으로 공유되는 상황이시라면 가족분들과도 꼭 같이 의견을 나눠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ook Rich or Be Rich
현명한 선택을 응원합니다!
- 파공 -
'▶파공's 자산형성 스토리 > ▷자산 형성 과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4. 결국 사람을 믿고 말았다 (0) 2021.01.15 003. 명도를 시작하다 (0) 2021.01.12 002. 본격적인 투자, 부동산 경매 (0) 2020.09.09 001.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파이어족 (0) 20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