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년 4분기 TSMC 실적 발표 점검 및 21년 전망 (feat.삼성전자 비교)▶파공과 함께하는 투자 공부/▷주식 공부 2021. 1. 19. 17:06
안녕하세요
파이어(F.I.R.E.)를 꿈꾸는 공룡
'파공' 입니다.
지난 2021년 1월 14일
대만의 초대형 반도체 기업인
TSMC가 20년 4분기
실적 발표를 했습니다.
대만 기업이지만 나스닥에 상장되어있고
파운드리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비교언급이
많은 되는 기업입니다.
그래서 인지 우리나라 개인
투자자분들도 TSMC 주식을
상당히 많이 보유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TSMC에서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20년 4분기 TSMC 실적 발표
점검 및 21년 전망
그리고 삼성전자와 살짝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마지막에는 개인적인 의견도
조금 덧 붙여 봤습니다.
1. 20년 4분기 TSMC 실적 발표
우리는 아무래도 원화를 기준으로
실적을 살펴보는 것이 좋겠죠?
그래야 감이 빠르게 오고,
우리나라 기업들과도 쉽게
비교해 볼 수 있을테니까요.
TSMC는 대만 기업이기 때문에
NT$ 단위로 실적발표를 했더라구요.
NT$ 는 New Taiwan Dollar 이고,
원화 대비 환율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구글 검색 물론 미국의 USD 기준으로도
실적을 따로 얘기하기는 했더라구요.
TSMC에서 발표한 자료와
위와 같은 환율을 바탕으로
원화로 환산해서 표를 다시 만들어 봤습니다.
TSMC 4Q20 실적 (원화 기준) 확실히 4Q20의 TSMC 실적이
굉장히 좋습니다.
전년 동기 (4Q19) 대비해서
매출액이 약 14%, 영업이익이 26.5%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여줬습니다.
코로나가 무색한 만큼 엄청난 성장률이네요.
사실 코로나가 반도체 업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 같습니다.
또한, 올해 3분기(3Q20) 대비해서도
매출액 1.4%, 영업이익 4.7%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여줬습니다.
참고로, TSMC의 EPS(주당 순이익)
시장 기대치(Consensus Estimate)와
실적(Reported Earnings)은 아래와 같이
기대치를 상회했구요.
매출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시장 기대치(Revenue Estimate) 대비
실적(Reported Revenue)이 낮게 나왔습니다.
출처: https://www.earningswhispers.com 기대치가 워낙 높았기 때문에
큰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보기는 어렵겠네요.
그래도 나쁘지 않은 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성장폭도 대단하지만,
TSMC의 43.5%라는 엄청난
영업이익률이 특히
눈에 확 들어왔습니다.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TSMC는
코로나 폭락 이후,
아래 차트와 같이
굉장한 주가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출처: Yahoo Finance TSMC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니
또 하나 눈에 띄는 부분이
매출액 비중이었습니다.
총 매출액의 20%를 5나노,
29%를 7나노 공정이
차지하고 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두 공정 모두 초정밀 공정인데,
이 둘만 합쳐도 전체 매출액의
약 50프로에 육박한다는
사실이 조금 놀라웠습니다.
초정밀 미세공정이다보니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여,
전세계에서 양산할 수 있는 기업은
TSMC와 삼성전자뿐입니다.
즉 5나노와 7나노 공정은
사실상 부르는게 값이 되는,
굉장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부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부분이 TSMC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뒷받침
하고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2. TSMC vs 삼성전자 비교
TSMC를 얘기할 때, 꼭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기업이 있죠.
바로 우리나라의 삼성전자입니다.
반도체 파운드리
(쉽게 위탁생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업계의 1위가 TSMC, 2위가 삼성전자
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5나노 미세공정으로
양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도 전세계적으로
TSMC와 삼성전자 뿐이죠.
하지만, 파운드리만 놓고 보면
TSMC가 삼성전자를 훨씬 앞서
나가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20년 4분기 기준
TSMC의 M/S(Market Share)가
55.6%로 1위이며,
바로 다음 2위가 삼성전자이지만
M/S가 16.4% 입니다.
차이가 상당하죠.
하지만 삼성전자는 아직
파운드리가 반도체 부문의
메인이 아닙니다.
최근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매출의 메인은 D-RAM입니다.
향후 몇 년이 지난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어쨌든, 그래서 삼성전자와 TSMC를
직접 비교하는것이
타당하다고 말하긴 힘듭니다.
삼성전자는 심지어 스마트폰,
가전 등도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총이 비슷한 두 기업의 실적은
한 번 비교해서 같이 보는 것도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간단히 준비해봤습니다.
두 회사의 매출액 차이를 보면
엄청난 규모의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모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기업은 시총이 비슷합니다.
물론 TSMC가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다는
유리한 점이 있긴 하겠지만요.
더 놀라운것은 영업이익률 입니다.
삼성전자는 영업이익률 이 15%인데 반해,
TSMC는 영업이익률이 43%에 달합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반도체 파운드리는 영업이익률이
굉장히 높은, 아주 매력적인
사업분야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아무래도 5나노, 7나노와 같은
초정밀 미세공정이 전체 매출의
대략 절반을 차지하면서
TSMC의 영업이익률이 더 크게
올라간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쯤되니 삼성전자의
3Q20 반도체 실적만
따로 뽑아서 보면
어떨까 싶어서 준비해 봤습니다.
삼성전자에서 반도체만 따로 뽑아서 보니,
TSMC와 규모가 비슷해지는 느낌입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은 29%대 43%로
여전히 큰 차이가 납니다.
그렇다면, 파운드리 분야의
M/S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기술력도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가
앞으로 더 성장할 가능성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3. TSMC의 21년 전망
TSMC의 CFO Wendell Huang에 따르면,
2021년 1분기에도 TSMC의 실적은
좋을 것 같다고 합니다.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관련된 수요,
자동차 분야의 회복, 스마트폰 시장의
계절적 수요 변동폭 완화로 인해
21년 1분기에도 꾸준히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를 했습니다.
이번 4분기 실적과 비교해서
보시면 아래와 같습니다.
TSMC측에서 발표한 수치를
최대한 그대로 옮겨오고자,
US 달러 기준으로 제시한 수치를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20년 4분기 실적도 상당했는데,
21년 1분기 실적 예상치는
더 어마어마하게 잡고 있네요.
과연 실제로는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가 됩니다.
4. 장기적 관점에서의 TSMC
(상당히 개인적인 의견)TSMC는 앞에서도 말씀드린바와 같이
파운드리 즉, 반도체 위탁 생산 분야의
세계1등 기업입니다.
M/S가 50%가 넘어가는
사실상 독점 기업이죠.
특히, TSMC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자주 합니다.
그래서 반도체 설계는 일절 하지 않고
오직 파운드리에만 온전히 집중하는 기업니다.
덕분에 고객사 입장에서도 마음 편히
일을 맡길 수 있는 파트너라고 인식하게 되죠.
이러한 특징이 어찌 보면 위험할 수도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파운드리 이기 때문에
TSMC가 경쟁력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TSMC이기 때문에’라기 보다
저는 파운드리 분야 자체를
굉장히 전망이 밝다고 보고있습니다.
현재도 어마어마한 영업이익률을
자랑하는 분야이지만
파운드리 산업의 전체 파이는
더 커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온갖 물건에 반도체가 들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그 수요가 더 늘어나고 있는것은 사실이죠.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서버, 자율주행자동차 등
게다가, 최근에 인텔이 5나노 공정
생산을 포기하면서 파운드리 분야의
진입장벽에 대한 부분도 어느정도
검증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테슬라와 애플도 자체집을 자체적으로
설계는 하면서 생산은 TSMC에
위탁하고 있는 것을 보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죠.
과거 인텔의 반도체 설계능력이
넘사벽이었다고 생각되었지만
소위 빅테크 기업들이 자체 설계를 하면서
그 벽이 무너진 것처럼,
파운드리의 진입장벽도
무너지는 날이 올 수도 있겠죠.
하지만,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투자 대비 이익을 끌어내기가
만만치 않을 겁니다.
단순히 구현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도 있지만, 생산은
수율도 고려해야되기 때문이죠.
또한,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초정밀 미세공정은 현재
TSMC와 삼성전자만 가능합니다.
추후 다른 파운드리 업체가
기술력을 따라오는 것도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막대한 자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최근의 트렌드를 볼 때,
반도체를 자체 설계하는 기업은
더 늘어날지언정, 생산까지 할 수 있는
기업은 많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입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분야에서
TSMC의 M/S를 일부 가져간다고해도
파운드리 전체 파이가
커질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TSMC 모두 꾸준한 성장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우려가 되는 점은
TSMC의 주가가 이미 많이
올라왔다는 점입니다.
4Q20 실적만 놓고 봐도
PER이 약 25배에 달하는 상황입니다.
물론 1분기 실적이 더 좋게 나온다면
PER이 덜 부담스럽겠지만,
그냥 차트만 봐도
부담스러운것은 사실이네요.
저도 지금은 TSMC 주식을
1주만 갖고 있는 상황이라서
시간에 분배하는 전략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말은 거창하지만, 그냥
분할 매수 하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보고
분할매수를 하고자 합니다.
TSMC 4분기 실적을 같이 보면서
삼성전자와 비교도 해보고
TSMC의 1Q21 전망,
그리고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개인적인 전망도 말씀드려 봤습니다.
오늘 저의 글이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되길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Look Rich or Be Rich
현명한 선택을 응원합니다
- 파공 -
'▶파공과 함께하는 투자 공부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미국 주식 유망 종목 from. BoA _ 2편 (f.트위터, 아마존, 펠로튼, 스냅, 핀터레스트) (0) 2021.02.07 21년 미국 주식 유망 종목 from. BoA _ 1편 (GOOGL, EXPE, VRM, UBER) (2) 2021.01.30 21년에도 유망할 미국 주식 종목 8가지 (feat. FDX, AMZN, REGN 등) (0) 2021.01.24 배당 투자!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세요!_01. (0) 2020.03.26 배당 투자 시작합시다! (feat. 배당이란, 배당 종류, 배당주 찾기, 배당이력 점검하기) (0) 2020.02.17